하이패스(HiPass) 단말기 - 고속도로 통행요금 자동결제
고속도로와 수도권 외곽순환도로에는 두 가지 종류의 차량이 있다. ‘하이패스를 단 차와 그렇지 않은 차’. 뻥 뚫린 도로를 한참 신나게(?) 달리고 있다가 저 멀리서 보이는 톨게이트를 보며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것만큼 김 빠지는 일도 없다. |
|
RF방식 |
IR방식 |
장점 |
- 차량 어느 위치에나 설치 가능 - 기후,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음 |
- 전력소모가 적다 - 전면 금속 코팅 차량 사용가능 - 전자파 영향이 없다 |
단점 |
- 전면유리 금속코팅시 오작동우려 - 내비게이션, GPS등과 혼선 우려 |
- 설치는 차량 전면 유리에 해야함 - 센서부를 가리면 오동작 우려 |
RF? IR? "하이패스 단말기 구매전 꼭 체크하세요" |
하이패스 단말기는 통행료를 내기 위해 차를 멈추지 않고 편리하게 요금소를 통과할 수 있지만 운전자의 취향이나 사용 목적에 맞춰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다나와 자동차 담당 3명이 자신의 운전 취향에 맞춰 취사선택한 하이패스 제품은 아래와 같다. |
|
|
추천제품 |
|
|
추천제품 |
|
|
추천제품 |
|
|
<질문>최대 몇 km/h로 하이패스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을까? |
편집/ 다나와 정보콘텐츠팀 신성철 multic00@dana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