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창고

국보 1호 숭례문(남대문) 화재 - 동영상

by 3sun 2008. 2. 1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년 02월 10일 오후
 8시48분쯤 - 화재 발생
 8시55분쯤 - 소방당국 화재 진화 시작
 10시30분쯤 - 화재 진압 판단, 잔불 진화작업
 10시40분쯤 - 2층 현판 5m 안쪽 지점에서 다시 살아남
 11일 0시40분부터 지붕이 붕괴...

  처음부터 과감하게 뜯고 진화했어야 했는데... 문화재청, 소방당국이 작은 것을 지키려다 큰 것을 잃은 것이 됐다.







 그땐 범인 잡는 것보다도, 불끄는게 우선 같은데?


소식 - http://news.google.co.kr/

위키백과 - 숭례문 - http://ko.wikipedia.org/

숭례문(崇禮門)은 조선시대 서울을 둘러쌌던 성곽의 정문이다. 남대문(南大門)이라고도 부른다. 1396년(태조 5년)에 창건되었다.[1] 1447년(세종 29년)과 1479년(성종 10년) 고쳐 지었다.

숭례문의 현판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한다. 서울 성곽의 다른 문의 현판들은 가로로 달려 있지만, 숭례문의 현판은 관악산의 화기를 막기 위하여 세로로 달았다고 전해진다.[2]

서울 4대문 및 보신각(普信閣)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仁: 동), 의(義: 서), 례(禮: 남), 지(知: 북), 신(信: 중앙)의 5덕(五德)을 표현한 것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3]

2006년 3월 3일, 숭례문의 중앙통로가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었다.

2008년 2월 10일 오후 8시 50분경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로 인해 불타기 시작해 약 5시간 후인 11일 오전 2시경 완전히 불에 타 무너졌다.


 역사

  • 1395년(조선 태조 4년) - 숭례문 시공
  • 1398년(조선 태조 7년) - 숭례문 준공
  • 태종의 맏아들이던 양녕대군이 숭례문 현액을 씀.[4]
  • 세종 30년(1448년)에 개축했으며, 성종 10년(1479년)에 중수.[5]
  • 1907년 - 일본 황태자가 방한하자 일제는 "대일본의 황태자가 머리를 숙이고 문루 밑을 지날 수 없다"면서 숭례문과 연결된 서울 성곽을 헐어버렸다. 성곽을 헌 자리에 도로와 전차길을 내고, 숭례문 둘레에 화강암으로 일본식 석축을 쌓았다. 문앞에는 파출소와 가로등을 설치했다.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되었다.[6]
  • 1916년 - 고적급유물보존규칙 공표. 조선총독부에 고적조사위원회 설치
  • 1924년 - 조선총독부가 고적급유물등록대장초록을 간행. 1호 원각사지십층석탑 등 193점의 유물을 등록함. 숭례문과 흥인지문은 없었다.[7]
  • 1933년 8월 9일 - 제령 제6호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 공포
  • 1934년 -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에 따라, 조선총독부는 보물 1호로 남대문을, 보물 2호로 동대문을, 보물 3호에 원각사지십층석탑을, 보물 4호로 보신각종을 지정하였다.[8]
  • 1962년 - 한국 정부는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지정을 참고해서 남대문을 국보 1호, 원각사지십층석탑을 국보 2호, 동대문을 보물 1호, 보신각종을 보물 2호로 각각 지정
  • 1994년 11월 - 미술전문지 「가나아트」 40호가 미술인 70명에게 여론조사한 결과 서울의 랜드마크로 국보 1호 남대문이 33표로 1위로 선정되었다.[9]
  • 1996년 11월 - 국보 1호 변경 주장이 이슈가 되어, 문화재관리국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서울대가 자체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였다. 서울 시민 1,000명 중 67.6%가 변경에 반대했다. 문화재전문가 144명(문화재위원 49명,전문위원 95명)의 59.2%가 변경에 반대했다. 반면, 서울대 학부 및 대학원생 262명 중 57%(150명)가 변경에 찬성했다. 변경 찬성 대답자들은 훈민정음을 1위로 지지했다.[10]
  • 2002년 2월 - 문화재위원회는 서울시의 숭례문 근접 관광 계획을 불허했다. 불허 이유는 차량으로 인해 관람객이 위험에 처할 수 있고 복잡한 도로사정으로 숭례문을 차분하게 감상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11]
  • 2003년 - 일제가 1907년에 헐어버린 서울 성곽의 성곽을 숭례문 좌우로 10m씩 복원했다.
  • 2003년 9월 - 일제는 돈의문 등 조선의 왕성인 궁궐과 성곽을 항일의 상징으로 보고 철저히 파괴했으나,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숭례문을 지나갔으며,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흥인지문을 지나갔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가 있다며 보존했다고, 2002년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오타 히데하루(太田秀春) 일본 도호쿠대 특별연구원이 서울대 국사학과 기관지인 ‘한국사론’ 49집에 발표한 논문에서 밝혔다.[12] 평양성 일대에 현존하는 현무문과 칠성문, 보통문, 모란대, 을밀대, 만수대 등도 모두 청일전쟁 때 일본군이 승리한 것과 관련되는 유적이라 해서 고적으로 지정돼 보호받았다고 한다.
  • 2005년 5월 27일 - 숭례문 주변을 광장으로 단장함.
  • 2005년 11월 - 감사원은 국보 1호를 변경할 것을 문화재청에 권고했다.
  • 2005년 11월 -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국보 1호 변경에 찬성했다.
  • 2006년 3월 1일 - 1907년 일제에 의해 출입금지된 숭례문이 99년만에 일반에 개방이 결정되어 3월 3일부터 일반인 출입이 가능하게 되었다.[13]
  • 2008년 2월 11일 -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하여 붕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