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컴퓨터 디지털

인텔 미드(Intel MID) - Mobile Internet Device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

by 3sun 2008. 4. 9.
인텔 미드(MID)가 뭘까?

PC 시장을 통틀어 2007년의 가장 기억나는 워스트 제품이 뭘까? 아마 열에 아홉은 UMPC(울트라모바일PC)를 들지 않을까? 종이 접기라는 의미를 가진 오리가미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이것은 언제 어디서든 들고 다니면서 인터넷, 쇼핑, 지역 정보, 업무, 커뮤니케이션 등 갖가지 일을 두루 해치울 수 있는 휴대용 PC를 꿈꾸며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하지만 처음 공개한 콘셉트와는 거리가 있는 디자인, 휴대성에 막상 힘을 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없던 것이 가장 큰 실패 이유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오리가미 프로젝트를 시작했던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삼성전자가 UMPC의 가능성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 휴대폰처럼 생겼을지, 노트북처럼 생겼을지, 아니면 PDA 모양일지 모르지만 머지 않아 주머니 속에 인터넷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컴퓨터를 하나씩 넣고 다니게 될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쉽게 내다볼 수 있다.

origami.jpg
<휴대용 PC에 대한 기대를 키운 UMPC, 오리가미 프로젝트. 그 결과는...>


MID, 모바일 시장 노리는 새 발판

인텔이 이 모바일 세상에 본격적인 로드맵을 그렸다. 이름하여 MID. ‘미드라고 읽고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를 줄인 약자다.

MID가 그리는 컴퓨터 환경은 어떤 것일까? 단순히 이름처럼 이동하며 인터넷을 쓸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일까? 인텔이 그리는 MID 세상은 좀 더 넓은 의미를 갖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휴대 장치를 포괄하는 것이다. “UMPC가 같은 거 아니었나?”라고 묻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UMPC는 이 MID의 한 가지 모습일 뿐이다. 휴대폰 모양이 될 수도 있고, 노트북, PMP, 내비게이션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이제껏 세상에 없던 형태의 제품이 태어날 수도 있는 것이 MID의 가능성이다. 휴대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장치가 MID를 설명하는 가장 가까운 말일 것 같다.

MID의 개념적인 의미를 알았으니 그럼 인텔이 어떤 제품을 내놓을지도 살펴보자. 이미 인텔은 UMPC를 통해 MID의 가능성을 엿봤다. 비록 큰 시장을 만들어내지는 못했지만 문제점과 나아가야 할 길을 봤으니 그만큼의 소득은 얻었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소형 플랫폼도 하나 얻었다. 인텔 셀러론 M 프로세서나 비아의 C7-M 프로세서가 주축이 되었던 1세대 UMPC 이후 2세대로 등장한 제품들은 새로운 플랫폼을 갖추고 하드웨어의 한계를 넘으려 노력을 쏟았다. 2세대 제품에 들어간 플랫폼은 멕카슬린이라는 코드명을 가졌다. A100, A110이라는 이름을 가진 프로세서는 550~800MHz로 작동하고 낮은 전력을 필요로 해 1세대 제품의 짧은 배터리 이용 시간에 대한 불만을 누그러뜨리는 데 어느 정도는 성공했다.

umpc2k7.jpg
<인텔이 UMPC를 위해 내놓은 멕카슬린 플랫폼. 기존 모바일 프로세서를 살짝 손 본 수준이다.>


센트리노 아톰, 작고 강해져

MID는 이 멕카슬린을 잇는 플랫폼 코드명 멘로우(Menlow)가 주인공이다. 정식은 이름 센트리노 아톰(Atom) 프로세서 기술이다. 이에 들어가는 핵심 프로세서는 코드명 실버손(silverthorne)과 다이아몬드빌 (diamondville)로 나뉜다. CPU는 작동 속도 정도의 차이점만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센트리노 아톰 플랫폼에는 실버손 프로세서와 풀스보(poulsbo) 칩 메인보드와 무선랜, 전지가 갖춰진다.

개발의 주 목표는 작은 크기의 플랫폼에 긴 배터리 이용 시간, 거침없는 성능을 내세우고 있다. PDA만한 장치에도 들어갈 수 있도록 몸집을 줄였는데 CPU 크기가 유로화 10센트와 거의 같을 정도로 작다. 성능 또한 PC 못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인텔은 센트리노 아톰 플랫폼이 UMPC는 물론이고 PDA만한 단말기, 내비게이션 등에서 활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MID를 위한 센트리노 아톰 플랫폼의 기본 골격. 큰 것이 메인보드 칩인 풀스보, 작은 것이 프로세서인 실버손이다. 동전과 비교해 크기를 가늠할 수 있다.>

특히 아주 낮은 전력으로 작동하는 것이 매력이다. 인텔이 발표한 아톰 프로세서의 열 설계 전력(TDP) 0.65~2.4W이다. 평균 160~220mW 수준으로 노트북용 코어 2 듀오 프로세서가 35W인 것과 비교해 볼 만하다. 크기가 작고 전력 소모도 적지만 성능은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다. 4700만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집약한 아톰 프로세서는 아직 자세한 성능 발표는 없지만 코어 마이크로 아키텍처의 CPU들과 같은 명령어 구조로 작동하면서 800MHz부터 1.1GHz, 1,33GHz, 1.6GHz, 1.86GHz 등 다섯 가지로 등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작동 속도가 전부는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성능을 낼 지는 대략 가늠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아톰 프로세서의 내부 구조다. 길쭉한 생김새를 하고 있다.>

센트리노 아톰의 메인보드 칩 역할을 하는 풀스보는 시스템 컨트롤러 허브라고 부른다. 크기는 작지만 다이렉트X 9L과 오픈 GL을 기반으로하는 저전력 3D 가속과 최고 1080i 해상도의 비디오 디코딩 가속을 하는 그래픽 컨트롤러를 지니고 PCI 익스프레스, HD오디오 등의 기술이 고스란히 들어간다.


내비, 휴대폰, PMP 등으로 영역 확장, UMPC 뒤집을 카드?

MID용 플랫폼은 벌써 내년 청사진도 그려지고 있다. 2008년 말이나 2009년 초에 다음 세대 MID용 플랫폼 코드명 무어스타운(moorestown)은 오랫동안 PC에서 이어져 온 메인보드의 노스브릿지, 사우스브릿지의 모습을 깨고 두 개의 칩을 한 데 합쳐 CPU 못지 않은 크기로 줄였다. 또한 CPU 안에 그래픽과 메모리 컨트롤러를 넣었다. 기본적으로 플랫폼을 구동하는 세 개 이상의 칩이 단 두 개로 줄어들고 크기까지 작아졌으니 그만큼 적은 전기로도 빠르고 효과적인 능력을 보여준다는 것은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무어스타운은 영역을 넓혀 스마트폰까지 주 영역으로 두고 있다.

MID에 거는 기대는 UMPC가 갖고 있던 미래를 대부분 물려받는다. 하지만 조금 더 구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다르다 할 수 있다. 먼저 애플리케이션이 많아질 것이라는 기대다. 노트북의 코어 2 듀오 프로세서와 같은 명령어 셋을 이용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들을 만들기도 쉽고 기존 프로그램들을 어느 정도 쓸 수 있다. 해상도나 인터페이스가 바뀌겠지만 이미 만들어져 있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각 MID에 맞게 고치기 쉽고, 일반 프로그래머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어렵지 않다. 그만큼 애플리케이션이 늘어나고 활용도가 높아질 것에 기대를 걸 수 있다.

inventec_lowres.jpg compal_lowres.jpgFujitsu_UMPC_lowres.jpgasus_lowres.jpg

<여러 가지 모양의 MID. 아직은 UMPC와 비슷한 모양이 대부분이지만
새로운 개념의 제품들이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휴대용 인터넷 단말기 등 각 MID들의 목적이 딱 부러지게 정해진다. 뭐든 할 수 있다는 것을 내세워 이도 저도 아닌 제품이 아니라 한 가지에 특화되고 다른 재주는 부가적인 것이다. 이 두 가지 요소가 UMPC의 가장 큰 실패 요인으로 꼽히는 대체 뭐 하는 물건?”이라는 의문을 씻어주고 비싼 장난감 대신 꼭 필요한 가전 제품의 이미지로 다가설 것으로 보인다.

크기와 배터리 이용 시간도 물론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이것들은 제조사의 설계 실력에 달려 있으니 제품을 만나봐야 알 것 같다. 하지만 인텔이 내세우는 소비 전력이 상당히 낮고 제조사들이 UMPC로 쌓은 설계 기술이 기대된다. 주머니 속에 PC 한 대씩 넣고 다닐 날이 머지 않은 것 같다.

Silverthrone_with_Penny_lowres.jpg

다나와 최호섭 기자 notebook@danawa.com
기자 블로그
http://blog.danawa.com/hs_choi

<저작권자 (c)다나와>
이 저작물은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조건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eative Commons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