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밤, 잣, 호두, 은행 등을 깨무는 행위로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기원
오곡밥
- 다섯가지 이상의 곡식(쌀, 보리, 콩, 조, 기장)을 섞어 지은 밥을 나누어 먹었으며 세집 이상의 타성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아진다고 전해옴
약밥.약식:신라때부터 상원날에 약식을 먹어야 좋다는 유래가 있음
대추, 밤, 곳감을 넣어 만들어 먹음(전북)
찹쌀, 대추, 밤, 꿀, 잣을 섞어 만듦(강원)
진채식(陳菜食)
- 호박고시, 무고시, 외고시, 가지나물, 버섯고사리 등 여름에 말려둔 나물을 삶아 먹는데 이를 진채식이라고 하며 대보름날 이를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였음
달맞이
- 저녁 달이 동쪽에서 솟아오를때 달맞이하며 햇불을 땅에 쫓고 두손모아 합장하여 제각기 기원을 함
보름놀이
- 연 띄우기, 연싸움, 줄다리기, 용잡이 놀이, 윷놀이, 널뛰기, 걸궁(농악), 햇불놀이, 다리밟기, 지신밟기 등
중국에서는 한나라 때부터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小 正月)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는 대보름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사회로부터 풍농(豊農)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겠다.
율력서(律曆書)에 의하면 "정월은 천지인(天地人)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달"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월은 사람과 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하나로 화합하고 한해 동안 이루어야 할 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점쳐보는 달인 것이다. 정월 대보름날을 한자어로는 '상원(上元)'이라고 한다. 상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 의 하나로, 삼원이란 상원(1월 15일), 중원(7월 15일), 하원(10월 15일)을 말한다.
도가에서 이 날은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고 한다. 한편으로 전통사회의 절일(節日)로서 정월 대보름(1월 15일)· 7월 백중(7월 15일)· 8월 한가위(8월 15 일) 등이 있는데, 이러한 명일(名日)은 보름을 모태로 한 세시풍속들이다.
대보름은 음력을 사용하는 전통사회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보면, 달은 생생력(生生力)을 바탕으로 한 풍요로움의 상징이었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의하면 태양을 '양(陽)' 이라 하여 남성으로 인격화되고, 이에 반하여 달은 '음(陰)' 이라 하여 여성으로 인격화된다.
따라서 달의 상징적 구조를 풀어 보면 달(月)-여신(女神)-대지(大地)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서의 출산력을 가진다. 이와 같이 대보름은 풍요의 상징적 의미로 자리매김한다.
전통사회의 농가에서는 정월을 '노달기'라 하여, 농군들은 휴식을 취하며 농사준비를 한다. 예컨대 가마니짜기· 새끼꼬기· 퇴비만들기· 농기구의 제작 및 수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는 휴식으로만 일관되지는 않는다.
새해를 맞이하여 새로운 시간의 창조를 위한 신성의례와 건강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얻기 위한 다양한 제의(祭儀)와 점세(占歲) 및 놀이가 행해진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농촌에서는 마을공동제의로 대개 대보름날 자정을 전후로 하여 동제(洞祭)를 지낸다. 가가호호 성의껏 각출하여 제비(祭費)를 마련하고,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을 선출하여 풍요로운 생산과 마을의 평안을 축원하는 것이 바로 동제인 것이다.
또한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놀이로 줄다리기를
들 수 있다. <줄다리기>는 <줄당기기>라고도
하며 주로 농촌에 전승 되어온 점세적 농경의례(農耕儀禮)이다.
볏짚을 이용하여 암줄과 숫줄을 만든 후에 마을단위
혹은 군단위로 양편으로 나뉘어 줄을 당기게 되는데,
암줄이 승리를 해야 풍년이 든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요즘유행하는 지신밟기 방법
- 삼채를 치면서 다니다가// 들어갈 가게 앞에서 휘모리를 짧게친후,
상쇠 : 문여소 문여소 주인장 문여소// 만~인간 들어갈제
만~복이 들어갑니다.// - 바로 이어서 휘모리로 신명나게 조진다.
만일 그 점포의 주인이 호응이 좋다면 상쇠는 가게로 들어가서 무병장수, 소원성취, 사업의 발전등을 기원해준다. 물론 사이사이 짧게 가락도 치면서,
만일 호응이 없다면 복을 빌어주러 왔는데 홀대하면 안좋다는둥 협박을 웃으면서 기분나쁘지 않게 하고 그래도 호응이 없으면 다음 점포로 이동한다.
이와는 달리 개인적인 의례로서, 대보름날 아침
일찍 일어나면 '부스럼
깬다'하여 밤·호두·땅
콩 등을 깨물며 일년 열 두달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축원한다. 또 아침 일찍 일어나 사람을 보면
상대방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고
한다. 이렇게 더위를 팔면 그 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한편 아침 식사 후에는 소에게 사람이 먹는 것과
같이 오곡밥과 나물을 키에 차려주는데, 소가 오곡밥을
먼저 먹으면 풍년이 들고, 나물을
먼저 먹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아이들은
대보름날이 되면 '액연(厄鳶)
띄운다'고
하여 연에다 '액(厄)' 혹은 '송액(送 厄)' 등을 써서
연을 날리다가 해질 무렵에 연줄을 끊어 하늘로 날려
보냄으로써 액막이를 한다.
주부들은 단골무당을 청하여 가신(家神)과 여러
잡신들을 풀어 먹임으로써 가내의 평안을 기원하는데,
이를 안택(安宅)이라고
한다.
대보름날
밤에는 달맞이
풍속이 있다.
달맞이는 초저녁에 높은 곳으로 올라서 달을 맞는
것을 말하며,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길(吉)하다고
한다. 아울러 달의 형체, 대소, 출렁거림, 높낮이
등으로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달집태우기
풍속도 대보름날 밤에 행해지는데, 횃불싸움과
쥐불놀이 등과도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짚이나
솔가지 등을 모아 언덕이나 산위에서 쌓아 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른다. 피어
오르는 연기와 더불어 달을 맞이하고, 쥐불놀이와
더불어 이웃마을과 횃불싸움을 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볏가릿대세우기, 복토(福土)훔치기,
용알뜨기, 다리밟기, 곡식 안내기, 사발점,
나무그림자점, 달붙이, 닭울음점 등이 있다. 볏가릿대세우기는
보름 전날 짚을 묶어서 깃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안에
벼·기장·피·조의 이삭을 넣어 싸고, 목화도 장대
끝에 매달아 이를 집 곁에 세워 풍년을 기원하는
풍속이며, 복토훔치기는
부잣집의 흙을 몰래 훔쳐다 자기집의 부뚜막에 발라
복을 기원하는 풍속이다. 용알뜨기는
대보름날 새벽에 제일 먼저 우물물을 길어와 풍년을
기원하며, 운수대통하기를 기원하는 풍속이다.
곡식
안내기는
경남지방의 풍속으로 농가에서는 정초에 자기집
곡식을 팔거나 빌려주지 않는다. 이는 이 시기에
곡식을 내게되면 자기 재산이 남에게 가게된다는 속신
때문에 행해진 풍속이다.
사발점은
대보름날 밤에 사발에 재를 담아 그 위에 여러 가지
곡식의 종자를 담아 지붕위에 올려 놓은 다음, 이튿날
아침 종자들의 행방을 보아 남아 있으면 풍년이고,
날아갔거나 떨어졌으면 흉년이 든다고 한다. 나무그림자점은
한자 길이의 나무를 마당 가운데 세워 놓고 자정무렵
그 나무 비치는 그림자의 길이로써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달붙이는
대보름 전날 저녁에 콩 12개에 12달의 표시를 하여
수수깡 속에 넣고 묶어서 우물속에 집어 넣어 콩알이
붙는가 안붙는가에 따라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닭울음점은
대보름날 꼭두새벽에 첫닭이 우는 소리를 기다려서 그
닭울음의 횟수로써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다.
대보름날에 행해지는 놀이로는 사자놀이, 관원놀음,
들놀음과 오광대 탈놀음, 석전, 고싸움, 쇠머리대기,
동채싸움 등이 있다.
'etc > 배우기 : 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처승(帶妻僧) 뜻 = 기혼승(旣婚僧), 화택승(火宅僧) (1) | 2009.04.01 |
---|---|
만우절(萬愚節, April Fools' Day) - 유래 - (만우절 허위신고 형사처벌) (0) | 2009.04.01 |
예멘 공화국(Republic of Yemen) - 국가 정보, 지도, 위치 - 이번 예멘 테러 발생국가... (0) | 2009.03.19 |
소 윗니 없다 (앞니, 이빨) (1) | 2009.03.13 |
고속도로 긴급 견인 서비스, 무료 - 한국도로공사 (0) | 2009.03.12 |
전국 지역별 HDTV 채널 번호, 송신소 위치, VHF, UHF(HDTV) 방송 채널별 주파수 대역 (0) | 2009.01.30 |
설날 - 유래, 풍속, 놀이 - 정월, 음력 1월 1일 (0) | 2009.01.24 |
2009년 달라지는 것들, 제도. 50cc 오토바이, 사발이(ATV) (0) | 2009.01.01 |
포도주(와인,wine) - 뱅 쇼(vin chaud) = 멀드 와인(mulled wine) = 글뤼바인(Gluhwein) (0) | 2008.12.26 |
번암 채제공 초상화 (사시) - 화산관 이명기 (0) | 2008.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