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24절기

망종(芒種) - 24절기

by 3sun 2008. 6. 5.
망종(芒種)
【망】까끄라기; 가시; 빛; 어둡다; 억새; 봉망(창 칼 따위의 뾰족한 끝) 【황】황홀하다.
【종】씨; 종류; 작물; 식물; 심다; 뿌리다; 펴다.

-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를 거두고, 뿌림.

   24절기 중의 아홉 번째 절기이다. 음력 4, 5월, 양력 6월 6, 7일경이  된다.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75도일 때이다.

옛 사람들은 망종을 5일씩 끊어서 3후(三候)로 나누었는데, 초후(初候)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중후(中候)에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 하였다.


  망종(芒種)은 벼, 밀,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를 거두고,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무렵에는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는 시기이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 는 속담이 있는데, 망종까지는 모두 베어야만 논에 벼를 심는다. 또 망종을 넘기면 보릿대가 꺾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고 바람에도 넘어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 갈아 콩도 심게 된다.
망종을 넘기면 모내기가 늦어지고, 바람에 보리가 넘어져 수확하기가 어려워진다. 특히 보리는 "씨 뿌릴 때는 백일, 거둘 때는 삼일"이라 할 정도로 시간이 촉박했다.

    보리 이삭     조 이삭

남쪽에서는 '발등에 오줌싼다'고 할만큼 1년 중 제일 바쁜 때이였다.

보리 그스름 -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  '보리 그스름' 이라 하여 아직 남아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 먹으면 이듬해 보리 농사가 잘 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날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날 먹는 곳도 있는데, 이렇게 하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 해를 병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는다.

망종보기 -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들음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점친다. 음력 4월 내에 망종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되어 빨리 거두어들일 수 있으나  5월 망종이 들면 그 해 보리 농사가 늦게 되어 망종내에도 보리 수확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전남,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 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한다. 경남 도서 지방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빨리 들어도 안 좋으며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한다. 특히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다고 한다.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와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은 후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채로 쳐 그 보릿 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제주도 지역에서는 망종이 일찍 들면 그해 보리가 좋고 늦게 들면 보리가 좋지 않다고 하며, 또 이날 우박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한다.

망종은 보리를 먹게 되고 볏모를 심는 시기다.  망종은 말 그대로 까라기 종자라는 뜻이니 까끄라기가 있는 보리를 수확하게 됨을 의미한다.

보리를 수확한 후에는 보리깍대기를 태워야 모내기 하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모를 심어도 빨리 사름(뿌리 활착)하게 된다. 그래서 보리수확이 끝난 논마다 보리깍대기 태우는 연기로 장관을 이루게 된다.
농가에서는 이맘 때 쯤이면 보리수확과 모내기가 연이어져 부척 바쁘게 된다. 이때의 바쁨을 일러 "발등에 오줌 싼다"고 말한다.


망종때는 농사일이 끊이지 않고 연이어져 일을 멈추는 것을 잊는다고 '망종(忘終)'이라고도 했다. 말 그대로 농번기의 최고 절정인 것이다.
보리수확과 타작이 끝나는 망종때부터 모내기가 대대적으로 시작된다. 특히 이모작을 하는 남부지방에서는 보리나 밀을 베랴, 논을 갈고 써래질하고 모심으랴, 눈코 뜰새없이 바쁘다. 이렇게 바쁘다 보니 자연 "불 때던 부지깽이도 거든다, 별보고 나가 별보고 들어온다."는 말까지 생기게 되었다.
이때의 바쁨을 이문구는 동시 '오뉴월'에서 이렇게 감칠맛나게 표현했다.

엄마는 아침부터 밭에서 살고
아빠는 저녁까지 논에서 살고
아기는 저물도록 나가서 놀고
오뉴월 긴긴 해에 집이 비어서
더부살이 제비가 집을 봐주네
모심기는 또 얼마나 괴로운 일이던가.
논에 물이 많으면 심어도 모가 곧 뽑히고, 적으면 구덩이가 쉽게 드러나 뿌리가 마르고 만다. 또 모를 심으면 며칠간 모끝이 하얗게 마르는 죽사름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못판에 있던 모를 옮겨 심으므로써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느라 잠시 죽은 듯이 있다가 뿌리를 내리며 다시 기운차게 살아오르기 위함이다.

 

양력 6월(망종절)의 영농 농가메모

상     순

중     순

하     순


가뭄에 따른 용수확보 하기

2모작논 모내기
평당 80~90포기, 포기당 4~5본

늦모내기
평당 90~110포기, 포기당 5~6본

1모작논 모내기
평당 75~85포기 심기
포기당 3~4본 지키기

새끼칠 거름주기
1모작논 : 모낸 후 12~14일
직파 논 : 벼잎 3~7매 때

잡초종류에 알맞은 제초제 뿌리기

잡초 종류별 제초제 뿌리기

잎도열병, 벼물바구미 동시방제

일찍 모낸 논과 직파논 중간물떼기
직파논 강한 중간물떼기 실시

새끼칠 거름주기
1모작논 : 모낸 후 12~14일
직파 논 : 벼잎 3~7매 때

보리탈곡과 건조

잎도열병, 이화명나방1화기
벼잎벌레 동시방제

벼물바구미 벼잎벌레 굴파리류 방제

1모작 콩 김매기

1모작 콩, 고구마밭 김매기

보리 수확 마무리
이삭팬 후 35~43일

옥수수 2차 웃거름주기

보리탈곡과 정밀건조

보리뒷그루 콩과 참깨 심기

조기재배 단옥수수 수확

단옥수수 수확

옥수수 1차 웃거름주기


봄감자 수확




고추 웃거름주기

고랭지 채소 분산 파종

기상재해대비 고추밭 관리

고랭지 채소 분산 파종

마늘, 양파 적기수확

양배추 여름파종

열매채소류 웃거름주기

포도송이 솎기

마늘, 양파 농가 간이저장

과수원 웃거름주기와 방울물주기

과수 여름전정과 유인

고랭지채소 분산파종

과수 열매솎기와 봉지씌우기

원예작물 병해충 방제

과수 여름전정과 장마, 태풍대책

포도 햇가지 유인

구근 화훼류 종구 수확

원예작물 병해충 방제

원예작물 병해충 방제

장마대비 원예작물 관리

구근 화훼류 선별 저온저장

가뭄지역 밭작물 물대주기



담근먹이용 옥수수 웃거름주기

우유 냉각과 보관 잘하기

가축의 일사병, 열사병 예방

초지의 방목과 목초이용

돼지콜레라와 일본뇌염 예방접종

장마에 대비한 사료포장 물뺄도랑
설치 등 습해방지

닭뉴캣슬병 예방접종

축사 운동장 주위 물뺄도랑 설치

배합사료를 통풍이 잘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하기

파리, 모리, 진드기 등 구제

외부차량 방문객 출입제한과 소독

느타리, 영지버섯 환경관리

닭 추백리와 전염성기관지염 예방

느타리, 영지버섯 발생 및 관리
온·습도 환경관리와 땅에 묻기

참깨병 종합방제(1차)

느타리, 영지버섯 발생 및 관리
온·습도 관리와 땅에 묻기

동충하초 환경관리와 재배

약초밭 관리
솎음작업과 웃거름 시용

동충하초 환경관리와 재배

약초밭 관리
솎음작업과 김매기, 웃거름 시용

여름뽕밭 거름주기
연간 총 비료량의 40%

누에치기 환경개선과 누에 올리기
알맞는 온습도 지키기
가지떨어 자연올리기

뽕나무 병해충(순혹파리) 방제
지오릭스분제 토양에 뿌려주기

뽕나무 병해충방제 제초제 뿌리기



 모내기

못자리에서 기른 모를 본논에 옮겨 심는 일

 

 

모심기라고도 한다. 한국의 벼농사에서 모내기에 의한 농사법이 널리 보급된 것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이며 그 이전에는 논에 물을 대고 논바닥을 고른 다음 종자를 뿌리거나, 밭상태의 논을 고르고 종자를 뿌리는 직파재배법(直播栽培法)에 의하여 대부분의 논농사가 이루어졌다.

근래에는 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의 벼농사 지대에서 모내기를 통한 벼재배가 일반화되어 있지만,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지역과 미국의 벼농사 지대에서는 지금도 직파재배가 실시되고 있다.

모내기를 통한 벼농사의 장점으로는, ① 어린 모가 좁은 면적의 못자리에서 생육되기 때문에 집약적인 관리 ·보호를 받을 수 있다. ② 못자리기간만큼은 본논을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어 토지 이용도를 높일 수 있다. ③ 본논에 물을 대는 기간이 단축되어 관개수를 절약할 수 있다. ④ 일정한 간격으로 모를 심기 때문에 본논의 재배관리가 쉽다. ⑤ 본논관리를 집약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높일 수 있다.

모내기는 그 지방의 기후 ·재배품종 ·병해충 발생 ·지력 등을 고려하여 수확량을 가장 많이 낼 수 있는 시기에 실시하게 되며, 수리(水利) 사정 · 윤작(輪作) 관계 · 노동력 사정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작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에서는 가급적 모를 일찍 내는 것이 유리하지만 한국과 같은 온대지방에서는 모의 발근생리(發根生理)로 보아 평균 기온이 13~15.5℃ 이상이 되어야 모를 낸 후 새 뿌리를 뻗을 수 있기 때문에 모를 일찍 내는 데도 한계가 있다.

1모작보다 모내기가 늦어질 수밖에 없는 2모작 논의 경우에는 하루라도 빨리 모내기를 하는 것이 유리하며, 늦어도 중부지방은 6월 하순, 남부지방은 7월 상순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기계모내기를 할 때는 손으로 모를 낼 때보다 10일 이상 덜 자란 모를 심기 때문에 품종별 ·지역별로 늦심기 한계기의 범위 안에서 모를 내야 한다.



  기계모내기를 할 때는 손으로 모를 낼 때보다 10일 이상 덜 자란 모를 심기 때문에 품종별 ·지역별로 늦심기 한계기의 범위 안에서 모를 내야 한다.

모내기를 하는 방식에는 산식(散植)과 정조식(正條植)이 있다. 산식은 포기 사이와 줄 사이가 고르지 못한 방법으로, 최근에는 거의 이용하지 않고 있다. 정조식은 줄 사이와 포기 사이가 일정하여 논에서의 여러 가지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정조식으로 모를 심을 때도 줄 사이와 포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여러 방식으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 줄 사이 21cm×포기 사이 21cm와 같이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모를 심는 정사각형식, 30cm×15cm와 같이 심는 직사각형식, 직사각형식의 변형인 병목식(竝木植), 또는 2조(二條) 병목식 등의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벼의 재배조건에 따라서 모내기 방식을 선택해야 하며, 비옥한 논, 심경다비(深耕多肥) 조건, 기후가 온난한 평야지, 소식(疏植), 수수형품종(穗數型品種) 재배 등의 환경에서는 정사각형식이나 이에 가까운 방식으로 심는 것이 좋지만 한랭지역(寒冷地域), 척박한 논, 밀식(密植), 조식(早植), 수중형품종(穗重型品種) 재배 등의 환경에서는 직사각형식이나 병목식으로 모를 심는 것이 유리하다. 직사각형식은 정사각형식에 비하여 포기 사이가 좁으므로 초기의 생육은 약간 억제되나 줄 사이가 넓기 때문에 생육 후기까지 비료의 흡수가 쉬우며, 줄 사이를 통한 통풍과 채광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관리작업이 더 편하다.

정조식으로 모를 심을 때 줄 사이와 포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단위면적당 심는 포기수가 결정되며 이것과 포기당 심는 못수[苗數]를 합한 것을 벼의 재식밀도(栽植密度)라 한다. 일반적으로 벼의 재식밀도는 그 지방의 기상 ·토양 ·시비량 ·재배품종 ·모내기 시기 ·모의 소질 ·노동력사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원칙적으로 분얼(分蘖)이 억제되고 생육이 충분하지 못한 환경, 즉 땅이 척박하고 비료가 적은 조건, 한랭지대, 늦심기, 이삭이 크고 분얼이 적은 품종 및 작은 모를 심을 경우에는 밀식이 유리하며, 이와 반대로 벼의 생육에 좋은 조건, 즉 땅이 비옥하고 비료를 많이 주는 경우, 난지(暖地), 조식, 분얼을 많이 하는 품종 및 큰 모를 심을 경우에는 밀식의 효과가 적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소식하는 것이 오히려 유리하다.

2모작의 경우에는 모심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더 배게 심어야 하며, 3.3m2 당 85∼120주(株) 가량을 심고 포기당 못수는 5∼6이 알맞다. 모내기할 논은 써레질을 할 때 높고 깊은 곳이 없도록 논고르기를 잘 하여야 물관리가 쉽고 제초제(除草劑)의 피해도 적게 받는다.

찰흙논을 경운기의 로터리로 곤죽이 되도록 써레질을 한 후 바로 모를 심으면 모가 땅속으로 빠져들어가 깊이 심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므로 찰흙논은 모내기 2∼3일 전에 써레질을 하여 흙이 어느 정도 가라앉은 다음에 모를 심는 것이 좋다.

모내기할 때는 물을 얕게 댄 후 모춤을 가지런히 맞추어서 2~3cm 깊이로 얕게 심어야 새 뿌리가 빨리 내리고 새끼를 많이 치게 된다. 물이 잘 빠지지 않는 습답의 경우에는 10∼15줄마다 1줄씩 배수구(排水口) 예정지를 만들어 무효분얼기(無效分蘖期)에 흙을 파올려 골을 만들고 중간물떼기[中間落水]를 하여야 벼의 후기생육이 좋아진다.

최근 벼농사에서 이앙기(移秧機)의 보급 ·이용이 급속히 늘어남으로써 한국의 논농사도 기계화 시대에 들어섰다. 이앙기를 이용할 때는 먼저 기계를 철저히 점검하여 가장 좋은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손질을 해두어야 한다. 모내기 전의 작업준비로는 이앙기에 모를 싣고, 단위면적당 포기수와 한 포기당 못수를 알맞게 조절하고 모심는 깊이를 조절한 후 유압 레버를 이앙상태로 해주는 일을 점검 ·확인해야 한다. 또 모를 심기 전에 논의 모양을 살펴보고 심어나갈 방향을 결정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기계의 전진 방향은 논의 긴 쪽 방향으로 하고 논두렁이 곧은 쪽부터 심기 시작하는 것이 좋고, 논두렁의 양쪽이 굽은 논에서는 안쪽에서부터 심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삼각형 논은 적게 굽은 쪽부터 심어나간다.

최초 4줄(4조식 이앙기인 경우)은 그 뒤의 기준이 되므로 천천히 운전하여 똑바로 심어나가야 하며, 모심기를 시작할 때 논의 양쪽 머리에 이앙기가 회전할 부분 8줄 정도를 남겨야 하며, 마무리작업은 긴 쪽으로 4줄을 남기고, 한쪽 머리 논부터 심은 다음 , 긴 쪽 4줄을 심고 , 마지막으로 나머지 한쪽 머리 논을 심어주면 마무리가 끝난다.

 

출처 = http://ujuhim.co.kr/

'etc > 24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서(處暑) - 24절기  (0) 2008.08.22
입추(立秋) - 24절기  (0) 2008.08.07
대서(大暑) - 24절기  (0) 2008.07.22
소서(小暑) - 24절기  (0) 2008.07.08
하지(夏至) - 24절기  (0) 2008.06.21
소만(小滿) - 24절기  (0) 2008.05.20
입하(立夏) - 24절기  (0) 2008.05.05
곡우(穀雨) - 24절기  (0) 2008.04.19
청명(淸明) - 24절기  (0) 2008.04.04
춘분(春分) - 24절기  (0) 2008.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