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 경기 침체(stagnation) + 물가 상승(in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은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 경제학에서 고물가(인플레이션)와 실직, 경기후퇴(스태그네이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이 경우 총공급이 줄어들어 물가가 오르고 GDP가 후퇴하며 이 결과로 투자 위축이 발생하여 실업률이 오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좋아지면 사람들은 호주머니가 두둑해져 소비를 늘리게 되므로 물가가 오르고,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지출을 줄여 물가가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물가가 오르면(인플레이션)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들이든가, 이자율을 높이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경기가 침체하고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닥치면 이런 처방을 내리기 어려워진다. 정부가 돈을 풀어 경기를 부양해도 실업은 줄어들겠지만 물가는 더욱 불안해지고, 허리띠를 졸라매는 긴축정책을 실시하면 물가는 잠잠해지지만 경기는 더욱 얼어붙고 실업자도 늘어나게 되기때문이다. 결국 정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엉거주춤하게 되고 국민들은 인플레이션과 실업 증가라는 이중고에 시달려야 한다.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원인
여러의견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국제 원유 가격 등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를 때 일어나게 된다. 수입 물가가 오르면 기업들은 이익이 줄어들고, 손해를 보지 않으려고 제품 값을 높이게 되지만, 가격이 올라가면 소비자들은 수요를 줄이게 돼 결국 경기침체와 실업증가를 가져온다.
중동 전쟁으로 유가가 치솟으면서 일어난 1973년의 세계적인 불황이 좋은 예이다. 당시 유가는 73년 10월부터 불과 넉달 사이 4배가 올랐으며, 이에따라 각종 제품 값도 덩달아 올랐고 채산성이 악화된 기업들의 도산이 줄을 이었다. 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는데 물가까지 올라 더욱 힘든 생활을 해야했다. 미국의 경우 석유파동 직후인 74년 물가는 15%나 올랐고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예전에는 연평균 4%)로 떨어졌고, 우리나라는 땅값과 물가가 하루가 다르게 올라 부동산 투기와 생필품 사재기 소동까지 벌어졌다.
또, 경기 과열현상 때문에 사람들이 앞으로 물가가 계속 오를 것이라고 믿는 경우에도 스태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다. 물가가 상승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에 기업들은 제품 가격을 계속 올리고, 노동자들도 물가가 상승하는 만큼 임금 인상을 요구하게 되는데, 경기가 마냥 좋을 수는 없다. 어느 순간 내리막길로 돌아서는데 물가 오름세 심리는 일정기간 그대로 남게 된다. 이 경우 물가가 오르면서 경기는 침체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다.
경제 위기 고통분담으로 극복해야
이같은 경제 악화가 외부에서 발생한 '초고유가'라는 통제 불가능한 원인에서 생겨난 만큼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는게 가장 큰 문제다.
전 문가들은 유가와 곡물가 급등 등 수입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정부가 제어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물가 상승에 대한 압력을 '기업'. '정부', '가계'가 각각부담을 나눠짐으로써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시켜야한다고 조언했다.
황 연구위원은 "노동계는 임금을, 기업은 제품가격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가계에 걸리는 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 용상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공공요금을 낮게 유지하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식의 미시적인 재정정책으로는 단기적인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다"며 "결국 고통분담을 통해 외부 요인이 우호적으로 변화할때까지 기다리는게 최선책"이라고 말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진통제같은 단기처방식 재정정책으로는 해법이 없는 만큼 현재는 고통을 분담해 감내하면서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 국가 경쟁력을 회복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같은 경제 악화가 외부에서 발생한 '초고유가'라는 통제 불가능한 원인에서 생겨난 만큼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는게 가장 큰 문제다.
전 문가들은 유가와 곡물가 급등 등 수입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정부가 제어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물가 상승에 대한 압력을 '기업'. '정부', '가계'가 각각부담을 나눠짐으로써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할 시켜야한다고 조언했다.
황 연구위원은 "노동계는 임금을, 기업은 제품가격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가계에 걸리는 부담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 용상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공공요금을 낮게 유지하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식의 미시적인 재정정책으로는 단기적인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다"며 "결국 고통분담을 통해 외부 요인이 우호적으로 변화할때까지 기다리는게 최선책"이라고 말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진통제같은 단기처방식 재정정책으로는 해법이 없는 만큼 현재는 고통을 분담해 감내하면서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 국가 경쟁력을 회복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스테그플레이션 대비 부동산 투자 자세, 전략
'etc > 배우기 : 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표준소득월액표 - 국민연금 월간 납부액 (0) | 2008.07.17 |
---|---|
제헌절(制憲節) - 공휴일 제외, 태극기 달기. (0) | 2008.07.17 |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에이엠올레드) -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0) | 2008.07.10 |
폭염특보 - 폭염주의보, 폭염경보, (일최고)열지수(Heat index)란 무엇인가? (폭염주의보, 폭염경보 발령지역) (0) | 2008.07.09 |
아롱사태 - 소고기 부위별 특징, 용도 (0) | 2008.07.08 |
현충일(顯忠日) (0) | 2008.06.06 |
스승의 날 유래 (5월 15일) (0) | 2008.05.15 |
통신판매업자 신원정보 공개, 검색(공정거래위원회) - 인터넷 쇼핑몰 알아보고 물건사자! (1) | 2008.05.11 |
광우병 괴담 10문 10답 (0) | 2008.05.09 |
AI (조류인플루엔자, 조류독감) 의미, 증상, 예방법 (0) | 2008.05.09 |